코딩 노트

02-3 변수와 입력 본문

Python

02-3 변수와 입력

newbyeol 2021. 4. 17. 16:01

1. 변수란?

값을 저장할때 사용하는 식별자

 

<변수를 활용하는 방법>

첫째,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

변수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함. 수학자들이 3.14159265...라는 원주율 값을 π라는 기호로 정의 했듯이, pi를 "사용하겠다"

라고 선언하는 것을 말한다.

 

둘째,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방법

변수에 값을 넣는 것을 의미함. π=3.14159265이듯이 변수로 사용하겠다고 선언한 pi에 값을 넣는 것, 

즉 pi=3.141592를 말한다. 이때 = 기호는 '같다'는 의미가 아니라 우변의 값을 좌변에 '넣겠다','할당하겠다'를 의미한다.

 

셋째, 변수를 참조하는 방법

변수에서 값을 꺼내는 것을 의미함, 원의 둘레를 구하는 공식은 2*π*r인데 이때 π라는 값은 직접적으로 입력하지 않는다.

π에 3.14159265...이 들어 있을 것이라고 가정을 하는 것이다. 즉 π라고 쓰면 이 안에 들어 있는 값을 쓰겠다는 의미인 것이다. 이처럼 변수 안에 있는 값을 사용하는 것을 '변수 참조'라고 한다.

 

· 원의 둘레와 넓이 구하기

# 변수 선언과 할당
pi = 3.14159265
r = 10

# 변수 참조
print("원주율 =", pi)
print("반지름 =", 2*pi*r)
print("원의 둘레=", 2*pi*r)
print("원의 넓이=", pi*r*r)

2. 복합 대입 연산자

변수는 내부에 들어 있는 자료의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문자열이 들어 있으면 문자열과 관련된 연산자,

숫자가 들어 있으면 숫자와 관련된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변수를 활용하면 기존의 연산자와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가 있다. 이를 복합 대입 연산자라고 부른다.

 

복합 대입 연산자는 자료형에 적용하는 기본 연산자와 = 연산자를 함께 사용한다.

예를 들어, a += 10이라고 사용하면 a=a+10이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낸다. 

 

· 숫자에 적용할 수 있는 복합 대입 연산자 종류

연산자 이름 설명
+= 숫자 덧셈 후 대입
-= 숫자 뺄셈 후 대입
*= 숫자 곱셈 후 대입
/= 숫자 나눗셈 후 대입
%= 숫자의 나머지를 구한 후 대입
**= 숫자 제곱 후 대입

 

문자열도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복합 대입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연산자 이름 설명
+= 문자열 연결 후 대입
*= 문자열 반복 후 대입

 

· 예제

# 숫자
>>> number = 100
>>> number += 10
>>> number += 20
>>> number += 30
>>> print("number:", number)
number: 160

#문자
>>> string = "안녕하세요"
>>> string += "!"
>>> string += "!"
>>> print("string:", string)
string: 안녕하세요!!

2. 사용자 입력: input()

명령 프롬프트에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

input 함수 괄호 안에 입력한 내용을 프롬프트 문자열이라고 하며, 프로그램이 실행 도중에 잠시 멈추는 것을 

블록(block)이라고 하는데, input() 함수가 사용자에게 자료 입력을 요구하면서 코드 진행을 블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nput과 같이 함수의 결과로 나오는 값을 리턴값이라고 한다.

input() 함수는 사용자가 무엇을 입력해도 결과는 무조건 문자열 자료형이다. True나 False와 같은 불(boolean)값도

모두 문자열로 나온다.

 

3. 문자열을 숫자로 바꾸기

input() 함수의 입력 자료형은 항상 문자열이기 때문에 입력받은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해야 숫자 연산에 활용할 수 있다.

영어로는 캐스트(cast)라고 부른다.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할 때는 다음과 같은 함수를 사용한다.

 

· int()함수: 문자열을 int 자료형으로 변환한다. int는 정수를 의미한다.

· float()함수: 문자열을 float 자료형으로 변환한다. float는 실수 또는 부동 소수점을 의미한다.

 

· int() 함수 활용하기

string_a = input("입력A> ")
int_a = int(string_a)

string_b input("입력B> ")
int_b = int(string_b)

print("문자열 자료:", string_a + string_b)
print("숫자 자료:", int_a + int_b)

 

4. 숫자를 문자열로 바꾸기

· str()함수: 앞서 했던 int() 그리고 float() 함수와 비슷한 형태를 가진다. 즉 다른 자료형의 값을 str() 함수의 매개변수에

넣으면 문자열로 변환된다.

 

· str() 함수를 사용해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기

output_a = str(52)
output_b = str(52.273)
print(type(output_a), output_a)
print(type(output_b), output_b)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1 불 자료형과 if 조건문  (0) 2021.04.18
02-4 숫자와 문자열의 다양한 기능  (0) 2021.04.17
02-2 숫자  (0) 2021.04.12
02-1 자료형과 문자열  (0) 2021.04.12
01-3 이 책에서 자주 나오는 파이썬 용어들  (0) 2021.03.25